본문 바로가기

online tip/Analytics

구글 애널리틱스 URL태그, URL작성도구 활용하기

반응형

 

 

구글 애널리틱스 URL태그, URL작성도구 활용하기


 

 

지난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 초기 세팅에 대해서 다루었는데 오늘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조금 더 내가 원하는 데이터에 적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올려보았다. 

다만 페이지가 랜딩되는게 아니라 단순 버튼클릭이라던가 URL을 삽입할 수 없는 단계일 경우에는 사용이 어렵겠지만 최소한 링크를 통해 홈페이지에 유입된다면 이게 어디에서 들어온건지 파악이 가능하도록은 할 수 있다.

 

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하나 들자면 네이버 검색광고 혹은 구글 검색광고 이용 시 어떤 경로에서 어떤 키워드로 유입되었는지까지 확인이 가능한 것.

 

물론 그에 맞춰진 빌더가 없다면 엄청난 노가다가 필요하게 될 수 있지만 활용만 잘 한다면, 특히 광고 효율을 한 곳에서 파악하는데엔 아주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. 

 

대표적으로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제공하는 캠페인 URL 빌더 페이지는 아래와 같다.

 

https://ga-dev-tools.appspot.com/campaign-url-builder/

 

 

 

 

 

 

구글 애널리틱스 URL태그 빌더 페이지에서 내 정보로 대략적으로 넣어본 내용.

 

● WEBSITE URL : 클릭 시 넘어가는 랜딩URL을 입력한다. (꼭 메인페이지X, 클릭했을때 떠야하는 페이지로 입력)

 

● CAMPAIGN SOURCE : 구분해야할 가장 큰 카테고리를 입력해준다.

- 광고를 예로 들었을 때, GOOGLE/NAVER/KAKAO 이런 식으로 매체 기준을 큰 틀로 잡는 것이 보통.

 

● CAMPAIGN MEDIUM : 그 다음 분류 기준 혹은 중요 카테고리를 정해준다. 

- NAVER로 예를 들자면 검색광고인지, 배너광고인지, 혹은 다른 어떤 광고인지를 구분해주는 것이 보통.

 

● CAMPAIGN NAME : 그 다음 분류 기준 / 중요 카테고리를 정해준다. 

- 구글 배너광고를 여러개의 소재로 진행하고 있다고 하면, 소재 구분 기준 혹은 프로모션명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다.

 

● CAMPAIGN TERM : 쉽게 '키워드'를 입력하는 란.

- 네이버 검색광고 진행 시 어떤 키워드로 들어왔는지 알기 위해서는 해당 위치에 등록한 키워드를 입력한다.

(각 키워드마다 모두 별개로 삽입되어야 정상적으로 작동, 키워드 1,000개를 등록했다면 1,000개를 모두 각각 넣어 URL을 생성해야 한다.)

 

마지막 캠페인 컨텐츠는 이 모든 것을 입력하고도 또 무언가 다른 구분을 지어야한다면 삽입한다.

 

앞의 4개까진 무난하지만 마지막 TERM에서는 각각 다른 키워드를 삽입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을 어떻게 해야하나 난감할 수 있는데 간혹 구글링을 하다보면 감사하게도 항목을 자동으로 URL로 적용해주는 매크로가 걸린 엑셀파일을 제공해주시는 분들이 있다. 

파일을 사용하실 때 주의사항은 한글로 입력했을때 해당 글자에 해당하는 다른 코드로 바뀌는지 꼭 확인해야한다. 항목을 영어로 채운데엔 이유가 있는데 한글로 입력 후 URL코드에 그대로 적용되면 오류가 생겨 데이터에 아무것도 잡히지 않으니 꼭 변경되는지 확인이 필요함.

 

이 내용은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 

위 설명에도 소스/미디엄/네임/텀 영역에 어떤 기준으로 항목을 삽입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실제 데이터가 뜨는 기준으로 확인해보면 좋다.

 

이미지는 실제 구글 애널리틱스에서 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인데 

획득 > 전체트래픽 > 소스/매체 경로로 들어가면 소스/미디엄에 넣은 값 그대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. 해당 항목에 어떻게 넣어야할지 모르겠다면, 나중에 내가 어떤 데이터를 확인하면 될지를 생각해보심 조금 쉬워지실 듯.

 

 

 

 

 

1, 3, 6, 7, 9, 11 은 URL태깅을 통해 세팅으로 값을 얻어낸 항목이고 나머지는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별도의 세팅 단계없이 집계된 항목이다.

 

 

 

 

 

위에서 한글로 입력값을 넣었을 때 URL결과값에서 코드가 바뀌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했는데 그게 이 부분이라 생각하시면 된다. 

 

매크로 파일을 얻어 이용하시게 된다면 항목에 한글을 넣어보시고 URL 결과값에 한글이 그대로 뜬다면 안타깝지만 다른 파일을 더 물색하는 것이 필요하다ㅠㅠ

 

검색광고가 아니라면 굳이 한글로 입력할 필요가 없겠지만 검색광고에서 수많은 키워드를 이용하고 있다면 그 데이터들을 모두 영어로 바꿔 삽입하는것은 여간 어려운일이 아닐 것이기 때문에...

 

 

 

 

 

데이터를 조금 더 상세히 확인하고 싶다면 보조측정기준에서 두번째 측정항목을 선택해주면 된다. 우리가 삽입한 값은 최대 5개인데 왜 2개의 기준으로만 보이나? 싶다면 이 두번째 측정항목을 이용하면 된다.

 

캠페인 네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는 '캠페인' 항목으로 측정기준을 하나 더 설정하면 내가 설정한 더 상세한 내용이 뜨게 된다. 위에서 큰 카테고리 > 작은 카테고리 순으로 기준을 정해서 삽입하라고 말씀드렸던 이유가 바로 이 것.

 

 

 

 

 

측정 기준을 '키워드'로 변경하고 보면 동일한 소스/매체 안에서 키워드기준으로 분류해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다. 키워드 별 세션, 이탈율, 세션시간 및 전환을 확인하고 싶다면 이러한 설정으로 확인이 가능하다. 

 

전환은 목표설정을 통해 별도 설정이 가능하고 이 부분은 또 다른 컨텐츠에서 중점적으로 올릴 예정!

 

파일까지 제공이 되었으면 좋았을텐데 관련 블로그 보다가 활용하기 좋게 올려둔 분이 계시다면 링크라도 걸어두어야겠다ㅠㅠ

 

반응형